도서명문화목회를 그리다
저자/출판사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문화법인/대한기독교서회
ISBN9788951119873
크기신국판 mm
쪽수280p
제품 구성낱권
출간일2019-12-05
목차 또는 책소개상세정보참조


  기본상품명 문화목회를 그리다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저자/역자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문화법인
  ISBN 978-89-511-1987-3
  출시일 2019-12-05
  크기/쪽수 신국판 280p



문화목회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 실제적인 지침서


 


♣ 책 요약


『문화목회를 그리다』는 무엇보다 문화목회적 예배에 대한 이론적 정립을 처음으로 시도한 것이 눈에 띈다. 이와 더불어 ‘교회 카페’, ‘평생교육원’, ‘교회 공간’이 문화목회에서 어떤 위치에서 시작되어야 하는지 그 목적과 취지를 알려주고,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매뉴얼을 제시하여 교회, 기관, 단체가 문화적인 키워드들을 교회와 목회에 무관하게 운영하지 않고, 목회적 차원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제안했다. 이 책은 문화목회를 준비하고 있는 목회자들에게 문화목회를 시작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매뉴얼을 제시해줄 뿐만 아니라 문화목회에 대한 비전과 새로운 전략을 심어줄 것이다.


 


♣ 출판사 서평


문화목회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 실제적인 지침서. 무엇보다 문화목회적 예배에 대한 이론적 정립을 처음으로 시도한 것이 눈에 띈다. 이와 더불어 ‘교회 카페’, ‘평생교육원’, ‘교회 공간’이 문화목회에서 어떤 위치에서 시작되어야 하는지 그 목적과 취지를 알려주고,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매뉴얼을 제시하여 교회, 기관, 단체가 문화적인 키워드들을 교회와 목회에 무관하게 운영하지 않고, 목회적 차원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제안했다. 이 책은 문화목회의 개념, 모델, 방법 등 문화목회의 이론을 제시한 『문화목회를 말한다』(2017, 대한기독교서회)에 이어 나온 두 번째 책으로, 문화목회의 ‘실천편’이라 할 수 있다. 『문화목회를 말한다』의 경우 문화목회에 대한 필요성을 알면서도 문화목회를 어떻게 시작할지 막막해하거나,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답답한 심정을 토로하던 목회자들에게 문화목회에 대한 물꼬를 터주었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이 책은 크게 세 영역으로 나뉜다. 첫 번째 영역은 예배이다. 여기서는 문화목회적 예배가 어떤 것인지 그 의미를 살피고, 이에 대한 예배의 실제인 세례예식을 제시한다. 두 번째 영역은 지역의 소통 키워드이다. 여기서는 공간, 교회 카페, 평생교육원 등 각각의 지역 소통 키워드가 문화목회에서 어떤 위치이고, 어떤 관계성을 통해 운영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성과 설립에 대한 실제적인 절차를 제공한다. 세 번째 영역은 문화목회를 하고 있는 교회에 대한 사례조사와 분석을 소개한다. 여기서는 문화목회의 사례를 통해 문화목회를 펼쳐갈 수 있게 사례교회의 상황과 담임목사 인터뷰를 통해 문화목회적인 제안을 하고 있다.


이 책은 문화목회를 준비하고 있는 목회자들에게 문화목회를 시작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매뉴얼을 제시해줄 뿐만 아니라 문화목회에 대한 비전과 새로운 전략을 심어줄 것이다.


 


 


♣ 차례


발간사 1 | 조건회 | 004


발간사 2 | 주승중 | 006


추천사 | 서정오 | 008


서문 | 손은희 | 010


 


문화목회적 예배


문화목회의 한 표현인 문화예배, 그 의의와 실천 | 성석환 | 020


문화목회적 예배의 실제 : 4-5세기 세례예식을 통한 현대 문화목회적 예배의 적용과 그 실례 | 김영권 | 061


 


문화목회와 함께하는 소통 키워드 - 공간, 교회 카페, 평생교육원


문화목회의 실천을 위한 ‘공간’ 기획 | 오동섭 | 110


지역의 문화사랑방 ‘교회 카페’ | 최은호 | 144


문화목회를 위한 좋은 선택 ‘평생교육원’ | 심성수 | 201


 


문화목회 사례연구


문화목회 사례 연구 : 국수교회, 동숭교회, 미와십자가교회, 쌍샘자연교회를 중심으로


| 박현철, 배성훈, 안도헌, 최은정 | 236


 


 


♣ 지은이_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문화법인


2008 11월 설립되어 변화하는 사회문화의 흐름 속에서 목회의 문화실천인 ‘문화목회’를 지원하며 문화의 일상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문화의 시대에 교회가 문화목회를 통해 지역사회와 소통할 수 있도록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으로 이 땅에 예수 그리스도의 문화를 펼쳐가는 일에 함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