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조나단 에드워즈의 인간의 본질과 그리스도인의 성화
저자/출판사최정규/CLC(기독교문서선교회)
ISBN9788934121138
크기153x224mm
쪽수408p
제품 구성낱권
출간일2020-04-10
목차 또는 책소개상세정보참조


  기본상품명 조나단 에드워즈의 인간의 본질과 그리스도인의 성화
  출판사 CLC(기독교문서선교회)
  저자/역자 최정규
  ISBN 978-89-341-2113-8
  출시일 2020-04-10
  크기/쪽수 153x224mm 408p

 

 

1. 도서 소개(출판사 리뷰)

이 책은 18세기 계몽주의가 시작되었던 미국의 청교도 목사이며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기독교 신앙에 영향을 준 조나단 에드워즈(Jonathan Edwards, 1703-1758)의 신학과 성경을 기초로 하여 성화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연구서이다. 에드워즈는 인간의 본질은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할 때에 섭리한 인간의 본질은 죄를 짓는 순간과 죄를 짓고 난 후에도 인간의 본질은 본질이라고 말한다. 에드워즈의 성화론은 하나님이 바라보고 있는 인간의 본질을 성경에 기초를 두고 펼쳐간다. 그는 인간의 삶 속에서 나타나는 이끌림의 현상(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인간의 본질이며, 이 본질을 통해 인간이 성향적 존재(Dispositional Ontology)임을 끌어낸다.

저자는 에드워즈의 성향적 존재 개념을 성화론의 중요한 원인자로 보고 성화론에 신학적 논지를 전개해 가고 있다.

 

저자 소개

최정규

한양대학교(B.A.)을 졸업하고 도미하여 Shenandoah University(M. Med.)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M.C.M.)를 졸업하였다. 이후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에서 목회학석사(M.Div.) 학위를 마치고, Mid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석사(Th.M.)와 철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메릴랜드 글린버니 새벽빛교회에서 담임목사로 섬기고 있다.

 

3. 목차

저자 서문 9

감사의 글 12

 

1장 서론 16

1. 연구 배경 16

2. 연구 목적 21

3. 연구 방법 40

4. 논문의 제안점 및 구성 44

 

2장 조나단 에드워즈의 성화론에 대한 선행적 연구 현황 58

1. 조나단 에드워즈의 성화론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선행 연구 58

2. 결론 및 평가 76

 

3장 성향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본 조나단 에드워즈의 성화론 형성 배경 80

1. 교육적 배경 91

2. 목회적 배경 113

3. 청교도 신학의 영향 136

4. 알미니우스주의와 신학 논쟁 156

5. 잠정적 결론 178

 

4장 성향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본 조나단 에드워즈의 성화론 내용 183

1. 성화의 출발점으로서 회심과 중생

2. 신앙 애정론을 통하여 나타나는 성화의 진정성 표지 205

3. 영적 인지와 동기 228

4. 진정성을 내포한 지속적 표지 244

5. 잠정적 결론 288

 

5장 성향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본 조나단 에드워즈의 성화론 원리 291

1. 조나단 에드워즈의 성향적 존재론에 대한 성경신학적 원리 391

2. 성화론의 객관적 원리 333

3. 성화론의 주관적 원리 354

6장 결론 390

 

참고 문헌 398

 

4. 본문 중에서

에드워즈는 성향을 강조하면서 성향이 활동하는 상황에 따라 믿음, 소망, 사랑, 순종, 참된 회개, 복음적 겸손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믿음도 이 중의 하나일 뿐이며, 구원에 있어서 믿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성향이 결정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진다는 것이다. p.63.

 

에드워즈는 본성의 원리는 본성이나 영혼의 개별적 기능들(다섯 가지 감각, 지성, 감정, 그리고 의지와 같은 것들)의 배후에서 작용하는 원리라고 가르친다. 이 새로운 감각에 수반되는 마음(heart)의 새로운 성향(disposition)은 의지의 새로운 기능이 아니고, 의지의 기존 기능들이 새롭게 작용할 수 있게 해 주는 토대라고 밝힌다. p.69.

 

에드워즈는 성화의 주체가 되는 성령 인간의 성향성 함께 어우러져 있음을 직접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에드워즈는 만일 우리가 우리 영혼을 등한히 여긴다면, 이런 은혜의 때에 마음이 더 강퍅해져 더욱더 죄를 짓게 될 것입니다라고 언급하면서, 우리가 우리 영혼을 등한히 여긴다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존재의 본질을 우리 영혼 분리하면서 등한히 여긴다면이라는 종속 구절을 통하여 우리라고 하는 존재의 본질 속에 담겨 있는 성향성 도출시키고 있다. p.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