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로이드 존스를 말하다
저자/출판사앤드루 아더스톤데이비드 세리 존스/김희정/부흥과개혁사
ISBN9788960923348
크기152*225mm
쪽수558p
제품 구성상세정보참조
출간일2014-04-01
목차 또는 책소개상세정보참조


  기본상품명 로이드 존스를 말하다
  출판사 부흥과개혁사
  저자/역자 앤드루 아더스톤,데이비드 세리 존스/김희정
  ISBN 978-89-6092-334-8
  출시일 2014-04-01
  크기/쪽수 (152*225)mm 558p



 


[책소개]


 


마틴 로이드 존스(1899~1981)20세기 영국 복음주의의 역사를 지배한 인물이다. 아마도 당대 가장 위대한 비국교도로 존경받는 인물이었을 박사로이드 존스를 사람들은 설교자, 그리고 젊은 목회자들의 지도자로 가장 잘알고 있다. 로이드 존스는 런던 웨스트민스터 채플과 다른 여러 설교단에서 성경적 확신에 대한 열망, 그리고 성령이 이끄시는 부흥을 향한 열망을 가지고 복음주의 운동을 튼튼한 개혁주의 기독교로 돌이키자고 호소했다. 실로 로이드 존스가 복음주의에 미친 영향력은 거대하며, 그가 남긴 유산은 아직도 우리에게 남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책에 담긴 새로운 연구 모음은 로이드 존스의 삶과 로이드 존스가 남긴 유산에 대해 다양하고 신선한 각도에서 우리의 이해를 한층 더 심화시켜 준다. 이 책에서 다룰 연구 주제는 전기 개관, 1, 2차 세계 대전 사이 칼빈주의의 부활, 웨일스, 부흥, 은사주의 논쟁, 목회자 교육, 근본주의, 바르트, 로마 가톨릭, 영국국교회 분리 위기, 개신교의 과거다. 그리고 로이드 존스 작품의 참고 목록이 책 마지막에 연대순으로 나와 있다.


 



 


[추천의 글]


 


그리 오래되지 않은 과거 인물이나 사건들을 다시 돌아보기에 적절한 시기는 보통 30년에서 50년 후다. 이 이유만으로도 이 책은 충분히 환영받을 만하다. 이 책은 더욱 폭넓은 지식과 더 세심하게 조율된 관점을 담고 있다. 우리는 무엇보다도 이 책을 통해 로이드 존스 박사가 복음주의를 이끌 당시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던 믿음과 사역의 모든 분야에 대해 일어났던 신선한 사고와 논쟁을 통해 유익을 얻을 수 있다.


 


- 서문 중에서, J. I. 패커


 



 


이 책에 담긴 각각의 연구 내용은 이해하기 쉽고, 신중한 조사를 걸쳐 평가되었으며, 판단이 적절하다. 또한 때로 감동적이고, 편중되지 않았으며, 언제나 읽을 만한 가치가 있고, 선별적으로 비판적이다. 그 결과 우리는 이 책을 통해 개혁주의 신학과 역사적 개신교의 위대한 챔피언에 대한 역사적, 신학적 통찰력의 향연을 즐길 수 있다.


 


- 마크 놀(노트르담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엮음] 앤드루 아더스톤·데이비드 세리 존스


 


앤드루 아더스톤은 옥스퍼드 위클리프 홀에서 교회사와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라티머 연구원 직을 맡고 있다.


 



 


데이비드 세리 존스는 웨일즈에 있는 애버리스트위스 대학에서 교회사를 가르치고 있다.


 



 


[옮긴이] 정옥배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 (SFU)에서 언어학을 전공하고 현재 캐나다 리전트 칼리지에서 DipCS (Diploma of Christian Studies) 과정을 이수하고 있다. 역서로는 존 칼빈과 떠나는 여행, 태초의 첫째 아담에서 종말의 둘째 아담 그리스도까지, 잃어버린 기독교의 보물 교리문답 교육(이상 부흥과개혁사) 등이 있다.


 



 



 


[목차]


 



 


참여한 사람들


 


서문 - J. I. 패커


 



 


소개의 글: 로이드 존스와 그의 전기를 쓴 사람들 - 앤드류 아더스톤, 데이비드 세리 존스


 


1. 로이드 존스와 1,2차 세계대전 사이 칼빈주의의 부활 - 데이비드 W. 베빙턴


 


2. 로이드 존스와 웨일즈 - 데이비드 세리 존스


 


3. 로이드 존스와 부흥 - 이안 M. 랜덜


 


4. 로이드 존스와 은사주의 논쟁 - 앤드류 아더스톤, 데이비드 세리 존스, 윌리엄 K. 케이


 


5. 로이드 존스와 설교의 소멸 - 벤 베일리


 


6. 로이드 존스와 목회자 교육 - 필립 H. 이브슨


 


7. 로이드 존스와 근본주의 - 로버트 포프


 


8. 로이드 존스와 칼 바르트 - 로버트 스트라이븐스


 


9. 로이드 존스와 로마 가톨릭 - 존 메이든


 


10. 로이드 존스와 영국 국교회 탈퇴 운동 -앤드류 아더스톤


 


11. 로이드 존스와 개신교의 과거 - 존 코피


 


참고목록: 로이드 존스와 그의 작품들 - 앤드류 아더스톤, 데이비드 세리 존스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