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한국YWCA 100년의 여정 - 축제의 회복을 위하여
저자/출판사유성희/대한기독교서회
ISBN9788951120763
크기신국판 mm
쪽수470p
제품 구성낱권
출간일2021-12-25
목차 또는 책소개상세설명참조



YWCA는 왜 존재하고 있는가?
한국YWCA가 걸어온 100년을 성찰하고 걸어가야 할 새로운 100년을 모색하다

♣ 요약

󰡔한국YWCA 100년의 여정: 축제의 회복을 위하여󰡕는 한국의 대표적 여성운동단체인 YWCA를 30년 조직의 내부자로서 경험한 유성희 사무총장이 지난 100년 동안 YWCA는 ‘무엇’을 했고, ‘왜’ 했는지를 성찰함과 동시에 앞으로 걸어가야 할 길을 모색한 책이다. 한국YWCA라는 조직을 지탱해온 뿌리를 찾기 위해 초기 역사에 주목하며, 지금까지 YWCA를 세워낸 수많은 여성과 활동의 이야기를 역사적‧사회적 맥락에서 담아냈다. 저자는 모든 생명이 누리는 일상의 ‘축제’의 회복을 돕는 것이 한국YWCA의 존재 목적임을 밝히며 그 길에 독자들을 초대한다.



♣ 출판사 서평

󰡔한국YWCA 100년의 여정: 축제의 회복을 위하여󰡕는 한국의 대표적 여성운동단체인 YWCA를 조직의 내부자로서 30년 가까이 경험한 유성희 사무총장이 지난 100년 동안 YWCA가 지켜온 것은 무엇인지를 돌아보고, 왜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YWCA가 존재해야 하는지를 이야기하는 책이다.

저자는 그동안 한국YWCA가 한국의 여성들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이 인간으로, 생명이 생명으로 온전함을 회복하는 일에 전념해왔다고 말한다. 온갖 불평등과 차별, 혐오, 폭력을 없앰으로써 창조질서를 회복하고 하나님이 주신 영성을 회복하여 복된 세상을 이루고자 밤낮 없이 현장을 지켜왔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를 위해 수많은 한국의 여성들, 특히 기독여성들의 헌신이 있었고, 이들을 지지하는 수많은 시민들의 후원과 지원이 있었다고 밝힌다.

이 책은 크게 10부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는 우선 한국YWCA의 탄생 스토리에 주목하며 과거의 사건 중 역사의 맥락에서 현재까지 영향을 미친 주요 활동과 여성들을 선별하고, 그 활동의 배경과 사회·정치적 변화 상황이 조직 활동에 준 영향이 무엇이었는지를 파악한다. 그리고 이후 YWCA의 성장 과정과 변화를 살피면서, 한국 사회 속에서 어떠한 역할을 감당해왔는지를 조명한다. 이를 토대로 저자는 100년 역사의 페이지를 넘기고 새로운 시작점에 선 한국YWCA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모색하였다.

저자에 따르면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한국YWCA에 주어진 과제는 그동안 여성들이, 시민들이 식민지와 자본, 권력에 의해 빼앗긴 ‘축제’를 되찾는 것이라고 한다. 하비 콕스(Harvey Cox)의 말처럼 ‘춤과 꿈의 축제’가 다시 살아나도록 돕는 것이 YWCA가 존재해야 하는 이유라는 것이다. 저자는 “모든 생명이 일상의 억압과 권위로부터 벗어나서 창조적인 열정을 꽃피우고 그것이 공동체적이고 모두가 행복한 일상의 문화를 다시 회복하는 것이 진정한 ‘생명의 축제’”라고 설명한다.

한국YWCA는 단순히 한 기독여성운동단체의 역사가 아니라 한국 여성의 역사이자 한국 시민사회의 역사이기도 하다. 한국YWCA가 조직되고 성장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 100년의 역사를 담아낸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한국 여성과 시민사회가 어떤 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게 되었는지도 함께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생명의 ‘축제의 회복’을 위해 지난 100년 동안 싸워왔듯이, 한국YWCA는 앞으로의 100년도 현장에서 싸워 나갈 것이다. 그 치열한 순례길에 독자들을 초대한다.




♣ 차례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01. ‘새 하늘과 새 땅’을 꿈꾼 사람들
1. 세 명의 설립자
2. 한국YWCA 탄생의 배경
3. YWCA와 근우회
4. 농촌계몽운동, 황애덕과 최용신
5. 일본YWCA로의 복속
6. 식민지 상황에 대한 일본YWCA의 인식과 한-일 YWCA의 관계
02. 두 여성
1. 왜 두 여성인가
2. 시대의 아픔을 살아낸 두 명의 여성지도자
1) 김활란과 YWCA
2) 조아라와 YWCA
3. 두 선교사의 자매애, 그들의 제자들
1) 김활란과 아펜젤러
2) 조아라와 유화례
4. 현대사의 굴곡 속, 두 사람의 시간과 공간
5. 두 여성의 믿음과 소망
03. 조직의 재건, 운동체로 가는 역정(歷程)
1. 해방 이후 한국 사회의 변화
2. 좌·우익으로 분리된 여성운동
3. 분단과 한국교회
4. YWCA의 재건과 여성운동의 프레임 형성 과정
5. 가족법 개정운동
6. 학생YWCA 재건
04. 성장과 도전 1: 회원 활동의 조직화와 지역운동으로의 확장
1. 박에스더의 리더십
2.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의 정립
3. 지역 활동을 통한 회원 조직화
4. 주부클럽의 회원 리더십
5. 생명과 생활협동공동체로 이어진 지역 조직운동
6. 전문 리더십 체계 구축
7. 대학YWCA의 ‘독자성 선언’
05. 격동의 한국 사회와 YWCA
1. ‘여성의 인간화’로 확장된 YWCA 운동
2. 여성인권운동
1) 남영나일론의 여성노동자 인권옹호
2) 동일방직사건
3) YH 사건
3. YWCA가 시작한 ‘여성의 직업개발’
4. 파출부 파견사업에서 가사노동자의 인권운동으로
5. 가사노동자 권리를 위한 입법운동과 성과
06. 성장과 도전 2: 조직의 확대와 청년 조직의 변화
1. 조직의 양적 확대
2. 지도력 분화와 청년 주체성의 약화
3. 다시 지역으로 간 청년들-로컬프렌들리 군산
07. 정체성의 성찰적 재구성과 운동의 제도화
1. 시민사회와 운동 지형의 변화
2. 지방분권과 운동 네트워크의 형성
3. 여성운동의 분화
4. YWCA 운동의 제도화
5. 한국YWCA의 1차 ‘정체성’ 논의
6. 지방 조직 확대의 배경과 영향
7. ‘한국YWCA 정체성’과 부속시설의 관계
08. 역사적인 조직의 전환: 한국YWCA 재구조화
1. 1차 사단법인의 설립
2. 2차 사단법인의 설립과 재구조화의 준비
3. 2차 정체성 논쟁
4. 부속시설 신(新)운영정책과 지역 법인화
5. “YWCA는 지역공동체운동입니다.”
09. 하령회에서 새벽종소리, 그리고 95개 논제
1. 하령회와 직원수양회
1) 하령회의 개념과 특성
2) 전국 직원수양회
2. 한국YWCA 목적문 영성운동과 『새벽종소리』
3. 한국YWCA 미래를 위한 95개 논제
10. 정의와 평화, 생명을 향한 항해
1. “돌봄으로 정의를, 나눔으로 평화를”
2. 한라에서 백두까지, 오늘도 계속되는 평화순례의 여정
3. 고리1호기 앞에서 기도한 여성들, 결국 고리1호기는 멈췄다
에필로그 YWCA 100년! 여성과 함께, 변화를 향해!
부록 초기 역사(1922-45) 중 YWCA와 여자기독청년회, 창설자와 관련된 신문기사 제목
참고문헌



♣ 지은이 소개

◼ 유성희
학생회원으로 YWCA 활동을 시작하여 청년, 리더십 훈련, 국제와 평화통일 등 다수의 부서 실무활동가를 거쳐 2004년 36살의 나이로 한국YWCA연합회 최연소 사무총장에 선출되었다. 이후 15년간 한국YWCA연합회와 유지재단, 복지재단 등 총 3개 법인의 사무총장을 역임하였다. 재임하는 동안 「시사저널」이 선정한 차세대 리더십 100명 중 시민운동 분야에서 3년 연속 1위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한편 현장의 경험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학업을 병행하여 한국YWCA 운동을 분석하는 논문으로 사회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기독교 시민운동은 하나님 나라 운동이고, 교회는 공익을 추구해야 하며, 사회적 약자를 위해 존재해야 한다는 믿음으로 지역과 청년이 변화의 주체가 되어 신뢰와 협력의 공동체를 회복하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