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죽산 박형룡의 삼위일체론
저자/출판사최홍석/도서출판 목양
ISBN9791186018057
크기152*225mm
쪽수280p
제품 구성상세정보참조
출간일2015-02-28
목차 또는 책소개상세정보참조


  기본상품명 죽산 박형룡의 삼위일체론
  출판사 도서출판 목양
  저자/역자 최홍석
  ISBN 979-11-86018-05-7
  출시일 2015-02-28
  크기/쪽수 (152*225)mm 280p


도서소개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성경적 해명(解明)”


 


삼위일체 교리와 관련하여 많은 이단(異端)들이 있었고, 또한 있으며, 있을 것이다.


 


이는 고대와 현대를 막론하고, 동서양을 불문한다.


 


이러한 영적, 교회적 상황에서 죽산(竹山)의 삼위일체론을 유념하며 궁구(窮究)하는 일은 성경적 진리에 굳건히 서기 위해 긴요(緊要)하 고도 화급(火急)하다..


 


필자는 지난날 교회역사 가운데 심각했던 삼위일체 논쟁들이 우리 시대에도 여전히 이슈(issue)가 되는 문제임을 바라보면서 바른 신학의 중요성을 절감하게 되었고, 바로 그점은 필자로 하여금 지로적(指路的) 신학을 하였던 죽산의 작품들에 관심을 가지고, 그 내용들을 읽고, 자세히 분석하며 평가하는 작업을 하게 한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필자는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성경적 해명(解明)이 우리시대 이 땅의 교회들에서도 절실하게 요청된다는 확신 가운데 비록일천한 글들이지만, 주님의 은총 가운데 몇 편의 논문들을 작성할 기회가 있었고, 이제 그 내용들을 모아 작은 책을 내어 놓는다. 부디주님께서 당신의 경륜을 이루가시는 일에 이 작은 책이 사용되기를 기도드린다. 또한 간곡히 바라기는 이 땅의 모든 말씀의 사역자들이주님의 은혜와 능력을 힘입어 성경의 진리를 온전히 선포하고 가르침으로써 조국의 교회와 민족의 삶의 자리가 복음의 빛 가운데 새로워지는 귀한 은총이 있기를 소망한다.


 


_ 저자 서문 중에서 _


 


차 례


 


I. 삼위일체론의 특별한 성격


 


1. 들어가는 글 12


 


2. 난해성 13


 


3. 중요성 18


 


4. 맺는 글 34


 


II. 삼위일체 교리의 성경적 근거 : 구약


 


1. 들어가는 글 40


 


2. 본 론 42


 


2.1. 계시 점진성의 원리 42


 


2.2. 구약성경에서의 증거 48


 


3. 맺는 글 63


 


III. 삼위일체 교리의 성경적 근거 : 신약


 


1. 들어가는 글 68


 


2. 본 론 69


 


2.1. 여일(如一)한 원리와 방법인가? 70


 


2.2. 신약성경에서의 증거 75


 


3. 맺는 글: 종합적 평가 98


 


IV. ‘우시아’(οσα)의 의미


 


1. 들어가는 글 106


 


2. 죽산에게 있어서의 본체’(本體)의 용례 109


 


3. 맺는 글 119


 


V. ‘삼위’(三位)의 의미


 


1. 들어가는 글 126


 


2. 본 론 128


 


2.1. 삼위(三位)에 대한 의미론적 요점과 그 유래(由來) 128


 


2.2. 용어 채택(採擇)의 배경과 용어개념의 성격 134


 


2.3. 위적(位的) 구별과 신적 유일성(唯一性) 사이의 관계 141


 


3. 맺는 글 149


 


VI. 일체(一體)와 삼위(三位)의 동시성과 진술의 순환성


 


1. 들어가는 글 154


 


2. 본 론 157


 


2.1. 성 부(聖父) 157


 


2.2. 성 자(聖子) 162


 


2.3. 성 령(聖靈) 169


 


3. 맺는 글: 종합적 평가 177


 


3.1. 실제적 동시성(同時性)과 진술의 순환성(循環性) 177


 


3.2. 제한적 의미에서 신인(神人) 사이의 유비(喩比) 불가능성 179


 


3.3. 해석학적 관심과 철학적(哲學的) 표현방식 184


 


VII. 성자의 영원한 나심’(generatio)


 


1. 내향적 사역(opera ad intra) 188


 


2. 성자의 영원한 나심’(generatio) 196


 


2.1. 접근방법 196


 


2.2. 신학적 함축(含蓄) 200


 


3. 맺는 글 220


 


VIII. 성령의 영원한 나오심’(processio /spiratio)


 


1. 들어가는 글 228


 


2. 진술구조가 지닌 신학적 함축 229


 


2.1. 샌드위치 구조 229


 


2.2. 구조의 필연성과 검증기능 231


 


2.3. 현실적 혼란 232


 


2.4. 혼란의 원인과 극복 234


 


3. 성령의 나오심’(proccessio/ spiratio) 236


 


3.1. 용어 및 전개방식 236


 


3.2. 역사적 배경 238


 


3.3. Filioque의 논거 241


 


3.4. 연속성과 불연속성 244


 


4. 위격들 사이의 밀접성 246


 


5. 맺는 글 252


 


저자소개


 


최홍석


 


저자는 한양대학교와 총신신대원을 거쳐, 네덜란드 Kampen


 


신학대학교(Drs. Theol.)에서 공부하였다.


 


열린교회와 화란한인교회를 섬겼으며, 1984년 가을학기부터


 


현재까지 총신신대원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사람이 무엇이관대, 교회와신학, 신의 말씀은 진리니이다


 


(교의학 서론), 신학과 삶, 교회론, 성령행전, 인간론,


 


죽산 박형룡의 삼위일체론, 존 머리(J. Murray)를 통해 본 기독교 복음 선포


 


등이 있다.